34살 테크니컬(DX) PMO 도전기

34살 테크니컬(DX) PMO 도전기 1화_정리된 지식만 파지 말고 실전투입 준비

도쿄뱅 2025. 3. 25. 09:35
반응형

34살 테크니컬(DX) PMO 도전기 1화_정리된 지식만 파지 말고 실전투입 준비


 

기록을 남기는 것에 중요성을 나이가 들어갈수록 체감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렇게 정리해 나갈 예정

 

목 차

내가 앞으로 도전하는 직무

이를 위해서 현재까지 준비해왔던 것

위를 통해서 배운점

앞으로 해나갈 것


내가 앞으로 도전하는 직무(JD)

채용 포지션:
DX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PMO / 테크니컬 PMO (1명)

업무 개요:

  • 회사의 성장과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DX(디지털 전환)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 프로덕트 본부와 관련 부서, 계열사 내에서 조직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자동화, 데이터 분석, 시스템 통합 등을 통해 개선합니다.

주요 업무 내용:

  • DX 전략 수립 및 실행: 현재 조직 내 문제(Pain Point)를 찾아내고 단기, 중기, 장기로 해결 계획을 수립하여 KPI를 설정하고 추진합니다.
  • 업무 자동화: 매뉴얼 작업을 줄이고, ChatGPT와 API, Google Spreadsheet 함수, iPaaS 등 도구를 활용해 업무 효율을 높입니다.
  • 데이터 분석 및 보고: SQL, Python, R, BI 도구 등을 사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영진에 보고합니다.
  • IT 도구 관리 및 교육: Jira 등 프로덕트 관련 도구를 관리하고, 조직 내 교육 및 지식 공유를 지원합니다.

필요 역량 및 경험:

  • DX 및 프로세스 개선 경험: 3년 이상의 조직 내 DX 추진 및 지속적 개선 경험
  • 기술 역량: SQL 기초, 데이터 분석 및 자동화 도구 활용 능력 (예: Google AppScript, Excel 매크로 등)
  • 문제 해결 능력: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
  • 언어 능력: 일본어 (JLPT N1 수준 또는 이에 준하는 실력)
  • 추가 우대 사항: 관련 전공 학위,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 글로벌 업무 경험, 통계 및 AI 활용 경험 등

요약
회사의 DX 추진을 담당하는 PMO 역할로, 조직의 문제를 찾아내어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하고 자동화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모든 기술이나 경험이 완벽할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필요한 기술을 배우며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왜 직무 이동을 하는가?

데이터 애널리스트로서 대략 4년간 일을 해오면서, 과연 나는 이 직무의 강점이 있는가를 계속 생각해 왔다. 직무를 하며 분석 결과를 발표할 때도 그랬지만, 평소에도 주식 투자를 할 때 꼼꼼하게 하나하나 분석을 하기보다는 전보다는 그러한 경향이 줄어들었지만 직감, 경험을 베이스로 판단을 해왔다. 이런 내가 데이터 애널리스트라는 직업을 하면서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렇다고 데이터라는 키워드를 버리고 싶지는 않았다. 앞으로는 더 더 데이터 세계가 될 것이고, 데이터를 이해한다는 것은 전보다 더 중요해질 것이다. 데이터 분석이라는 점에서 강점이 부족하다면, 데이터를 인수분해해서 보면 내가 더 파고 들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도 하겠지만 데이터를 통한 효율화와 같은 분야는 나에게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도 비효율적인 데이터 환경을 효율화해서 회사에 기여를 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일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이  DX이다. 

 

앞으로 도전하는 직무는 지금까지 분석해 왔던 소비자의 행동 분석은 아니지만, 여러 프로젝트 관련한 분석을 통해 효율화하고 프로젝트의 성공률을 높이는 일을 한다. 단순 분석뿐만 아니라 어떤 기술,  Saas를 도입해서 효율화하는 등 조금 더 '기술'에 중점을 맞추며 '효율화'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일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현재까지 준비해 왔던 것

지금 부서에서의 인수인계는 대략 끝났기 때문에, 시간이 남으면 다음 부서에서 필요한 것에 대해서 공부를 해왔다.

Udemy에서 강의는 이하 3가지를 들었다. 결국 내용은 도메인이 프로젝트 관리, 더 큰 시야에서는 포트폴리오 관리로 이어졌다.

 

책은 Axelos_-_Portfolio,_programme_and_project_offices-TSO_(The_Stationery_Office)_(2013) 이것을 읽었고 추가적으로 AXELOS_-_Management_of_Portfolios_(Managing_Successful_Portfolios)-TSO,_The_Stationery_Office_(2011)를 읽다가 내용이 중복되고 너무 이론적인 것만 공부하면 의욕이 떨어져서 일단 이론 공부는 그만두고 매니저와 매주 1on1을 하면서 알게 된 것을 조금 더 실무적인 관점에서 이번 주부터 접근해보려고 한다. 

 

https://university.atlassian.com/

 

Learning - Atlassian Community

Kai KrauseSenior Technical Consultant, VI2VA"In four years of training with Atlassian, I've gained invaluable skills in Atlassian products and agile methodologies."

community.atlassian.com

 

아 그리고, JIRA를 많이 다루기 때문에 JIRA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이야기 들어서 위 JIRA를 만든 회사에서의 교육 자료를 들었다. 

위를 통해서 배운 점

단순히 총무가 아니라, 지금까지의 경험에 연장

PM 즉 프로젝트 매니저에 관련된 정보는 많다. 그리고 이 직무에 대한 동경과 수요 또한 충분히 많다. 하지만 PMO라는 직무를 들었을 때 이 직무가 어떤 직무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적고 또 그 직무에 대한 설명을 들어봤을 때 단순 사무직 아닌가? 냉큼 내키지 않은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나도 똑같았다. 유튜브에서 PMO 관련 동영상을 봐도, 프로덕트의 총무와 비슷한 직무, 즉 직원용 노트북 관리, 해커톤 운영 개최, 회식 개최 등 단순한 태스크들이 많아 보였다. 

 

하지만 기업에 따라 PMO의 색깔이 정말 다양하다. 위처럼 단순 업무도 할 수 있지만, 우리 회사의 PMO 특히 이번에 내가 이동하게 되는 부서는 테크니컬, DX라는 직함이 붙어있다. 위에 직무 요약에도 적혀있듯이, 데이터 운영, 분석 등의 지금까지 해온 업무의 연장선상이라고 나는 느껴졌다. 

 

BtoC-> 소비자가 아니라 사내, 그리고 더 큰 시야

라쿠텐이나 지금 회사에서는 소비자를 분석해 왔다. 소비자가 이런 행동을 하니깐 어떻게 하면 매출을 더 늘릴 수 있을지, 어떤 광고를 하면 어떤 마케팅을 하면 등등 하지만 소비자와의 거리가 너무 멀게 느껴졌다. 하지만 앞으로는 소비자가 아니라 더 가까운 나의 고객들 사내의 팀멤버들이다. 뿐만 아니라 이 포지션은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더 상위 개념인 포트폴리오 관리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전의 리포트 라인은 높으면 부장, 더 높으면 CMO였는데 지금은 CEO, 부사장으로 높아지면서 더 중요한 직책이라는 것을 느낀다.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관리는 경영 그 자체라는 것을 위의 여러 지식 공부를 하면서 여실히 느꼈다. 

앞으로 해나갈 것

솔직히 아직 지식 공부가 완전히 되어있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공부를 좋아하면서 매번 느끼는 것은 메타인지다. 나는 이론 공부만 하면 재미가 없다. 나는 귀납적인 사람이다. 경험을 통해서 많이 배우고 빨리 습득한다. 예를 들어 어떤 자격증을 딸 때도, 빨리 이론 공부를 한 번 돌리고, 문제를 많이 풀면서 지식을 더욱 체계화해 나가는 것을 선호한다.

 

PMO가 지금까지 어떤 일을 해왔는지 해왔는지 정보는 다 정리되어 있다. 아까 전에도 말했듯이 회사마다 PMO 특색, 요구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 회사는 어떤 것을 요구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이를 직접 해결해 보는 연습을 해봐도 좋을 것 같다. 지금까지는 개인적으로, 결혼식 준비 등으로 일에 집중을 많이 못했지만 앞으로는 전문성을 키워 집의 기둥으로서 수입이 높아지도록 노력해야겠다. 


34살 테크니컬(DX) PMO 도전기 1화_정리된 지식만 파지 말고 실전투입 준비

 

반응형